본문 바로가기
자료/사회복지레포트자료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형태와 장/단점을 조사해 보고, 본인의 의견을 밝히시오.

by 복자정 2020. 4. 2.

1.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형태

1) 부모효율성이론(PET) 부모교육 프로그램

- (Gordon) 이 개발했으며 아동의 정서적 문제는 부모-자녀 간의 관계에서 발생한 것이기에 개선 방법은 부모를 교육해야한다는 생각으로 부모 효율성 훈련을 개발했다. 

 

2) 적극적인부모역할(APT) 부모교육 프로그램

- (Michael Popkin)이 1983년 개발한 적극적 부모역할 토의 프로그램을 개정하였고 이때 적극적인 부모 역할 훈련을 만들게 되었다. 기존의 부모교육방법은 오디오테잎이나 책 정도만 이용했다면 과거와 달리 적극적 부모 역할 훈련 프로그램에서는 집단토의, 과제읽고 기록, 비디오시청, 개인 및 집단활동, 양육기술 연습 등 각 장의 목표와 내용들을 소개하고 강화하도록 구성했다. 

 

3) 체계적 부모 효율성 훈련(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

- (Dinkmeyer & Mckay) 의 부모교육은 부모-자녀 관계를 민주적 가족 분위기를 바탕으로 보았으며, 이 관계가 긍정적으로 갈 수 있는 필수 요소는 4가지였다. 상호존중, 시간 내서 재미있게 놀아주기, 용기주기, 사랑으로 의사소통하기.

 

 

2. 부모교육론 레포트 자료 추천

 

소개글

사회복지학_부모교육론 중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형태와 장/단점을 조사해 보고, 본인의 의견을 밝히시오.]
를 주제로 작성하여 A+학점을 맞게된 자료입니다. (자신의 의견 카테고리도 있으며, 결론에 제언까지 포함시켰습니다.)
표절률도 현저히 낮은 따끈따끈한 최신 자료이기 때문에 사회복지 학습자에게 많은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 교육프로그램
1) 부모효율성 훈련 이론(PET) 부모교육 프로그램
2) 적극적인 부모역할(APT) 부모교육 프로그램
3) 체계적 부모 효율성 훈련(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

2.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의 장단점
1) PET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장/단점
2) APT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장/단점
3)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장/단점

3. 나의 의견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부모와 자녀는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으로 원만하고 건강하고 밀접한 관계를 갖는 최초의 상대이다. 그러므로 부모라는 존재는 아이에게 직접적이며,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부모 세대가 자라온 환경 및 문화의 차이 등에 따라 적응하지 못하는 부모들은 부모 역할 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오늘날 사회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이것은 자연스럽게 부모와 자녀 간의 세대 차이로 여겨져 갈등의 골을 깊어지게 한다. 이런 상황에서 강조되고 있는 것이 부모교육이다. 현 세대에는 부모도 교육이 필요하고 부모교육 프로그램 역시 필요하다는 인식이 강하다. 과거와는 다르게 현재에 있어서 필요성을 사회가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부모교육프로그램은 영, 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편중 되어 있다. 이는 아이가 성장하는 전체 발달 단계로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 경제적으로 부모로서 서고 싶지만 여건이 안 되어 그것이 어려운 처지의 소외 계층 등 다양한 경우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고려한 프로그램 형성으로 확장 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형태 및 장/단점을 조사해보고 나의 의견을 서술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영옥 (2007년) 부모교육. 공동체.
김수희 외(2008). 부모교육. 학현사.
김정주, 이미영 외.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저소득층 어머니의 부모교육 요구. 열린부모교육연구 vol.5(2)
이재택. (2016).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 308-318.
김정옥, 배나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연구," 사회복지연구, Vol.25, pp.69-90, 2003

 

https://www.happycampus.com/report-doc/24154823/

 

댓글